소재지=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에 있는
조선후기 학자 윤증 관련 주택. 국가민속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190호.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윤증이 건축하였다고 하나 후대에
개수 등이 있었던 듯 현존건물은 19세기
중엽의 건축양식을 보이고 있다.
이 고택은 파평윤씨(坡平尹氏)들의
세거지인 옛 이산현에 있는
이산(尼山)을 배산(背山)하여 인접한
노성향교(魯城鄕校)와 나란히 남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집 앞에는 비교적 넓은 바깥마당이 펼쳐져 있고,
그 앞에 인공 방형지(方形池)를 파고
조그마한 석가산(石假山)을 조성한
훌륭한 정원이 꾸며져 있다.
정원에서 4단석계의 축대를 오르면
오른쪽에 앞으로 돌출한 사랑채가 있다.
그 뒤로 연접하여 사랑채 후면에서 1칸
물려 왼쪽으로 一자형의 중문간채가 자리잡고 있다.
ㄇ 형의 안채는 북쪽으로 중문간채와
1칸 떨어져 있어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또, 안채의 서익(西翼) 바깥쪽에 광채가 있다.
기와를 얹은 맞담이 중문간채 좌우로
뻗어서 이 광채를 포함한 안채의 양측을
둘러쌌고 배후는 야산이 막아섰다.
따라서, 전체적인 배치는 튼口자의
안채에 독립된 사랑채가 접합된
형태라 할 수 있다.
안채는 중앙에 정면 3칸, 측면 2칸의
넓은 대청이 있다. 그 왼쪽으로 2칸 윗방,
2칸 안방을 두고, 오른쪽에는 2칸 건넌방,
1칸 마루방이 배치되어 있다. 좌측의 안방
전면에 4칸의 넓은 부엌을 돌출시켰고,
우측의 마루방 앞으로는 2칸
안사랑방과 1칸 작은부엌을 달아내었다.
대청 좌우익의 각 방들은 툇마루나
마루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대청의 배면은 심벽으로 처리하고 쌍여닫이
골판문을 설치하여 놓았다.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중앙에 전퇴를 둔 2칸의 사랑방이 놓이고
그 오른쪽에 대청이 배치되었다. 사랑방
좌측에는 1칸 마루방과 하부에 부엌을
둔 작은사랑방이 배치되어 있다.
사랑방 뒤퇴에는 드나드는 입시에
작은마루방이 배설되어 사랑방과
연결되며, 작은사랑방의 뒷방과도
통하도록 되어 있다.
중문간채는 정면 5칸, 측면 1칸으로
좌측 두 번째 칸에 중문을 내고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게 1칸 돌아 들어가게 하였다.
안채는 회반죽으로 마감한
막돌허튼층2단쌓기를 한 기단 위에 화강암
덤벙초석을 놓고 모두 방주를 세웠다.
주상에는 주두 없이 도리와 장여만
있는 민도리집이다.
대청·상부가구는 5량가로 동자주
없이 중도리의 장여를 대량 위에
끼워 걸쳐놓은 간소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종량 위에 제형판대공을 세워 뜬창방을
올려놓고 그 위에 소로를 놓아
장여와 종도리를 받고 있다
사랑채는 5량가로 안채의 구조기법과 유사하다.
다만, 화강암바른층쌓기 한 기단과
네모뿔의 화강암정평초석을 사용한 것이 다르다.
이 집은 모든 부재의 마감이 치밀하고
구조가 간결하면서 견실하여 아름다운
입면과 함께 신선한 맛을 풍기는
조선 후기 주택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출처=민속문화백과사전에서...
혜안님과 금숙님 나혜
명재고택을 말없이 조용 조용히
발거름을 옴김니다
초가집과 배롱나무의 아름다움
한옥과 배롱나무의 멋스러움이
발거름을 멈추게 합니다
보존이 이렇게 잘 되어있어요
지붕과 지붕이 맞닿은 듯 이렇게 아름다운
선을 이루고 있네요
정문이였던거죠
홍살문인거죠 태극 문양만 없네요
대문에 태극 문양과 잘 어울림입니다
이렇게 한바뀌을 돌며 고택
문화을배롱 나무을 만나고 왔습니다
'지역탐&해외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 길목에서.. (0) | 2020.11.06 |
---|---|
대전 세종 호수공원 & 흰어리언 (0) | 2020.09.14 |
논산 돈암서원 (0) | 2020.09.02 |
고창 선운사 꽃무릇 그리고 학원농장 (0) | 2019.09.23 |
충북 보은 99칸의 가옥 (0) | 2019.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