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말= 질투. 바람난 여인
얼레지는 전국의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구근식물로, 반그늘의 물 빠짐이
좋은 비옥한 토질에서 잘 자란다.
키는 20~30㎝이다.
잎은 길이가 6~12㎝, 폭은 2.5~5㎝로
녹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는데,
이 무늬가 얼룩덜룩해서 얼룩취
또는 얼레지라고 부른다.
꽃은 4월에 두 장의 잎 사이에서
긴 1개의 꽃줄기가 나오고
상단부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꽃 색깔은 자주색이고,
꽃잎은 6개이며 길이는 5~6㎝,
폭은 0.5~1㎝이다.
아침에는 꽃봉오리가 닫혀 있다가
햇볕이 들어오면 꽃잎이 벌어지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불과 10분 이내이며
오후가 가까워지면 꽃잎이 뒤로 말린다.
그리고 꽃 안쪽에는 암자색
선으로 된 “W”자 형의 무늬가
선명하게 나 있다.
열매는 6~7월경에 갈색으로 변하는데,
모양은 타원형 또는 구형이다.
종자는 검은색으로 뒤에는 하얀 액과
같은 것이 붙어 있다.
씨방이 아래로 향해 있기 때문에
받을 시기를 놓치면 쏟아지고 없다.
흥미로운 것은 이 씨앗이
개미 유충 냄새와 비슷해
개미들이 자신들의 알인 줄 알고
옮겨 나른다는 것이다.
덕분에 씨가 발아하기
쉬우며 비교적 좁은 범위에
빽빽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
잎이 한 장과 두 장으로 나오는데,
한 장을 가진 잎은 개화하지 않는다.
간혹 잎이 한 장인 것에서 꽃대가
올라오는 것이 있지만,
이는 다른 잎이 손상되어
없어졌기 때문이다.
종자 발아를 해서 생긴 구근은
해마다 땅속 깊이 들어가는
특성을 보이는데,
많이 들어간 것은 약 30㎝ 정도
되고 일반적으로 20㎝가량은
들어가 있다.
바로 이 구근 한 개에서 1개의
꽃이 피므로 얼레지를
1경 1화라고 한다.
또 특이한 것은 씨가 떨어진
뒤 바로 이듬해에 꽃이 피는 게
아니라 4년 이상 지나야 만
꽃이 핀다는 것이다.
그래서 얼레지 꽃을 보면
매우 반갑기도 하다.
간혹 흰 얼레지가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는 외국에 자생하는
흰 얼레지와는 다른 형태의
것으로 보인다.
백합과에 속하며,
가재 무릇이라고도 한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잎은 식용, 뿌리는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인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꽃말은 ‘질투’,
‘바람난 여인’이다.
**다음 백과**
오랜만에 풍성한
얼레 지을 만났어요
빛도 참 이뻐서 더욱더 좋았고
무엇보다 제일 적기에 만났지요
싱싱하고 건강한 아이들..
얼레지의 뿌리가 깊이 들어가서
4년만에 꽃을 피우는
얼레지의 만남이 행복한
시간이었습니다
노루귀
꽃말=인내
같이 자생하는
모습이 이뻤어요
올해는 청노루귀는
일부러 만나러 가지 않았는데
우연히 만남이 반가웠어요 ^^
꿩의바람꽃
꽃말=덧없는 사랑. 금지된 사랑
일부러 담지 않아도
이쁜 모델을 보면 그냥
갈 수 없잖아요 ^^
함께 해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
'꽃길 2022'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깽깽이풀(노랑꽃술) (0) | 2022.04.11 |
---|---|
깽깽이풀&미치광이풀&미선나무꽃(핑크)길마가지나무 (0) | 2022.04.07 |
들바람꽃&생강나무 &현호색 (0) | 2022.04.04 |
만주바람꽃&현호색&꿩의바람꽃 (0) | 2022.03.31 |
구슬이끼&애기괭이눈&만주바람꽃&너도바람꽃(쌍두)&청노루귀 (0) | 2022.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