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834 공주 구절사 구절초 주소= 신풍면 입동리 산 462023.10.05꽃말= 어머니의 사랑. 우아한 자태구절초(九節草)라는 이름은 아홉 번 꺾어진다 하여 붙여졌다는 설도 있고, 음력 9월 9일에 약효가 가장 빼어나다고 전해져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는 구절초를 만나고 왔어요 아직입니다 ㅎ덜 폈습니다 공주에는 영평사 그리고 구절사가 있는데몇 년 전부터 자주 찾게 되는 구절사는 길이 참 예뻐요오늘도 사부작사부작 걷는길이 참 좋았았지요꽃은 작년만 많이 못해요지난번 폭우로 많이 손실되었다고주지스님이 속상해하시네요 눈꽃처럼 하얗게 피였던 지난날이 스쳐가지만스님께서는 오죽 속상하시겠나 싶어예쁘게 바라보고 왔어요 구절초는 땅속의 뿌리줄기를 주변으로 뻗어나간다. 줄기는 50cm 정도 높이로 곧게 자라며, 뿌리잎과 줄기 밑 부분의 .. 2023. 10. 5. 서해 바닷가에서 2023.10.03 바다에서 투방을 참으로 위험하지요? 잘못하면 낭떠러지로 추락하니까요 가만히 바라보다 몇컷담았어요 허락받고 근데 잽싸게 도망가는 숭어 한 마리가 보이네요 잡는 이와 잡이는 자 도망자의 숨 막히는 순간의 찰나였어요 2023. 10. 5. 해국 2023.10. 07 꽃말=기다림 해국/왕해국은 대한민국 중부 이남지방, 독도의 햇볕이 잘 드는 암벽이나 경사진 곳에서 자라는 대한민국 자생식물이다. 키는 30~60cm이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며 지름은 3.5~4cm이다. 잎은 풍성하게 많으며 양면에 융모가 많고 어긋하게 난다. 잎은 달걀모양이며 위에서 보면 뭉치듯 전개되고, 잎과 잎 사이는 간격이 거의 없다. 잎주위는 끈적거려, 여름철에 애벌레가 많이 꼬인다. 잎은 아침나절에 꼿꼿하고 한낮에 생기를 잃다가 해가 지면 활기를 되찾는다. 해국/왕해국은 보통 관상초로 심기도 하고 식용 및 약용으로도 쓰인다. 해국/왕해국의 개화시기는 7~11월이며 열매는 11월에 성숙한다. 발아율은 70% 정도로 야생화 중에서 매우 높은 편으로, 꽃.. 2023. 10. 4. 추석 연휴 광덕산 2023.10.01 오늘은 바람도 많이 불고 하늘도 맑아서 보이는 산그리메 복 받았어요 광덕사코스 1코스로 가서 부용묘 4코스로 하산 오랜만에 선택한 이코스는 길을 새로 다시 단장했어요 기돈 길은 보호차원인 것 같고 막았고요 다시 길을 내였는데 글쎄요 요즘 산에 가면 종종 돗자리 비슥한 것 깔아 놓으면 산도 보호되고 산행객 들도 편하고 참 좋던데 조만간 해주겠지요 천안시청 파이팅입니다 참으로 행복한 산기였어요 2023. 10. 1. 선운사 꽃무릇 2023.09.23 꽃말=참사랑 은희 씨와 둘이서 3시 출발 좀 일찍 도착 주차장에서 기다렸어요 습도가 많아서 내심 기대했는데 금방 사리지는 안개 아래쪽은 활짝 계곡 위쪽은 너무 늦었어요 3일 전만 왔어도 참 예뻤겠다는 아쉬움이 남았지요 ^^ 2023. 9. 26. 서산의 밤 풍경을 만나다 2023.09.23 2023. 9. 26. 땅귀개&땅귀이개 2023.09.18 꽃말=파리의 눈물 땅귀개 또는 땅 귀이개(Utricularia bifida)는 통발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흰색의 실 모양인데 여러 개의 벌레 잡는 주머니를 가지고 있다. 잎은 땅속줄기에서 뻗어 나오며 주걱 모양이다. 꽃은 황색으로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10cm 정도의 꽃줄기 윗부분에 달리게 된다. 한편, 꽃이 진 후에는 꽃밥이 커져서 귀이개 모양이 되는데, 이러한 이유에서 땅 귀이개라는 이름이 붙었다. 열매는 10~11월경에 맺으며 둥글고 지름이 3.5mm 정도다. 주로 습지에서 자라며 한국의 중부 이남에 분포하고 있다. 관리법 = 물기가 많은 화단에 심는다. 번식법 : 11월에 받은 종자를 저장 후 이듬해 봄 화단에 뿌리거나 새싹이 올라올 때 뿌리 부분을 여러 개로 나누어.. 2023. 9. 19. 안면암 일출 2023.09.18 해는 저만치 가버리고 아침잠 일어나 바로 달리니 필터가방도 놓고 가버리고 지인 분이 필터하나 빌려주니 후레임 없이 손으로 잡고 간신히 30초에 25초에 몇 컷 담아봤어요 2023. 9. 19. 병아리풀&모시대&물매화& 자주쓴풀 2023.09.18 꽃말=겸양 병아리풀(Polygala tatarinowii)은 한국과 동아시아, 인도 등지에 분포하는, 원진과의 한해살이풀이다. 높이 4-15cm이고 털이 거의 없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연모(緣毛)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연한 자줏빛이며 총상꽃차례에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5개이고 옆갈래조각은 꽃잎같이 생기며 용골판은 끝이 솔처럼 잘게 갈라진다. 열매는 10월경에 맺고 지름이 3mm 정도이며 삭과로 편평한 원형이며 검은 종자에 털이 있다. =위키백과= 올해는 보지 못하고 그냥 지나가려나 했어요 자주쓴풀이 궁금해서 갔더니 이제 몽우리 찔끔 나온 걸로 봐서 앞으로 10일은 훌쩍 넘어야 볼 듯해요 모시대 꽃말=영원한 .. 2023. 9. 19. 야광충과 수다중 2023.09.02 2023. 9. 17.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