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834 구슬이끼 2023.03.20 (월요일) 꽃말=모성애 구슬이끼는 이끼의 포자낭이 구슬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얼핏보면 포자낭이 사과 모양으로 생겼으며, 크기는 1~3cm 정도 산과 땅, 암반 등에 서식하며, 꽃말은 ‘모성애’ 올해도 좀 이르지 싶지만 지나는 길에 한번 들러 봤어요 역시 실망은 시키지 않았지요 풍성하게 자라고 있었고 이제 막 나오는 애들도 많이 보였고 한 번 더 가봐야 할 것 같았어요 점박이가 나오면 더 귀엽잖아요 2023. 3. 21. 개암나무 2023.03,15 꽃말=환희. 화해. 평화 개암나무가 늘 낯설었던 이유가 있었어요 어릴 때 깨금이란 이름으로 참 친근했거든요 열매를 따서 딱 딱한 껍질을 벗기면 고소한 맛있는 열매가 나오는데 개암나무라니 영 힘들었어요 그래서 담아 볼 생각도 안 했던 거죠 검색하다가 재미난 전설도 보게 되었네요 가난한 가난한 농부가 개암나무 주어 내려오던 중 도깨비방망이를 얻게 되어 엄마와 행복하게 살아가는 내용 그랬어요 어릴 때 고소한 열매를 많이 먹었던 기역으로 이젠 개암나무 잊지 않고 자주 바라보게 될 것 같아요 이 아이의 특징을 암수꽃이 같이 핀다는 거예요 긴 수리는 수꽃 빨간 꽃술은 암꽃 앙증맞고 귀여운 반면 수꽃은 약간의 벌레 같은 모습이죠 ㅎ 하늘도 너무 이뻐요 오랜만에 이날은 맑고 청하하고 구름둥둥이라 히.. 2023. 3. 20. 큰개별꽃 2023.03.15 꽃말=은하수 석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꽃이 별모양이며 잎이 다른 개별꽃 류에 비해 좀 크지요 그래서 얻어진 이름 같아요 2023. 3. 20. 큰괭이밥 2023.03.15 꽃말=빛나는 마음 올해는 모든 애들이 일찍 고개 들어요 잠시 추위에 냉해를 입은 아이들도 있지만 비교적 잘 적응하며 마주한 꼬맹이 큰괭이밥 햇살을 등에 받고 있는 큰괭이밥은 알알이 속까지 보여 주는데 그 마음이 빛이 납니다 꽃말 참 좋네요 활짝 열어서 보여주는 이 아이의 꽃술 선명한 실핏줄까지 아름다워요 2023. 3. 19. 만주바람꽃 2023.03 15 꽃말=덧없는 사랑 아래지방에서 만나는 만주바람꽃 이곳은 약 2년 만에 온 것 같아요 여전히 많은 애들이 살고 있어서 참 다행이다 싶었지요 조금 늦은 듯 하지요?? 일주일 전부터 피기 시작한 듯해요 꽃 상태을 보면 통나무 하나가 울타리 되어 아늑한 터전 그야말로 예쁜 아가들이 옹기종기 모여서 살아가는 모습이 참 좋았어요 내년에는 적기에 한번 보고 싶네요 ^^ 가능하겠지요?? ㅎ 2023. 3. 18. 히어리&보춘화 2023.03.15 꽃말 = 봄의 노래 히어리는 조록나무과 식물로, 갈잎 떨기나무이다. 학명은 Corylopsis coreana이다. 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이다. 지리산과 조계산, 백운산 등 주로 남부 지방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하지만 광교산에서도 발견되었고, 광교산보다 북쪽인 경기도와 강원도에 걸쳐 있는 백운산에서도 자생지가 발견되어 북한계선이 새로 설정되었으며 히어리가 추위에도 잘 견딜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잔가지는 껍질눈이 촘촘히 나 있다. 이른 봄에 잎보다 먼저 꽃이 피는데, 초롱 모양의 총상꽃차례에 8~12개의 작고 노란색 꽃이 모여 달리며 밑으로 늘어진다. 작은 꽃은 고깔 모양이며 5장의 꽃잎을 포개고 속에 다갈색 수술을 담고 있다. 잎은 길이.. 2023. 3. 18. 고즈넉한 어느 시골 마을에서.. 2023,03.15 봄 햇살 속으로=시인=이해인 긴 겨울이 끝나고 안으로 지처 있던 나 봄햇살 속으로 깊이깊이 걸어간다 내 마음에도 싹을 틔우고 다시 웃음을 찾으려고 나도 한 그루 나무가 되어 눈을 감고 들어가고 또 들어간 끝자리에는 지금껏 보았지만 비로소 처음 본 푸른 하늘에 집 한 채로 열려있다 2023. 3. 17. 노루귀 2023.03.15 꽃말=인내 얼레 지을 보기 위해 들어갔다가 작은 물이 졸졸 흐르는 계곡에서 소담한 노루귀 한컷담고 있는데 빠르게 움직이는 일행들.. 2023. 3. 17. 털조장나무 2023.03.15 이동하는 중 함께한 언니가 이 꽃을 보여주는데 너무 이뻐서 보고 싶다고 했어요 무엇보다 생강꽃과 비슷한데 위에 화살촉처럼 뾰족하게 생긴 모양이 확연이 다르네요 끝쪽에 꽃이 달리고 잎이 화살촉처럼 생기고 무엇보다 나무색이 달라요 생강 나무는 그냥 나무 약간의 갈색과 회색 사이라면 털조장나무는 녹색을 하고 있어요 완전히 다르죠 도착해서 보니까 암꽃은 소복소복한 반면 만나는 꽃은 수꽃만 피고 있었지요 암꽃은 정말 생강나무꽃이랑 비슷한데 수꽃은 송이가 작아서 완전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어요 희귀종 털조장나무를 만난 것이 참 좋았어요 우리나라에서는 무등산에서 자생하는데 화순에서 만났습니다 그러니까 남쪽에서 볼 수 있는 나무같아요 다음에는 암꽃도 볼수 있으면 좋겠지요 2023. 3. 16. 얼레지 꽃말= 질투. 바람난 여인 얼레지는 전국의 높은 산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구근식물로, 반그늘의 물 빠짐이 좋은 비옥한 토질에서 잘 자란다. 키는 20~30㎝이다. 잎은 길이가 6~12㎝, 폭은 2.5~5㎝로 녹색 바탕에 자주색 무늬가 있는데, 이 무늬가 얼룩덜룩해서 얼굴취 또는 얼레지라고 부른다. 꽃은 4월에 두 장의 잎 사이에서 긴 1개의 꽃줄기가 나오고 상단부에 1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꽃 색깔은 자주색이고, 꽃잎은 6개이며 길이는 5~6㎝, 폭은 0.5~1㎝이다. 아침에는 꽃봉오리가 닫혀 있다가 햇볕이 들어오면 꽃잎이 벌어지는데, 오후 되면 다시 닫아요 2023. 3. 16.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 18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