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34

헐떡이풀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절실한 사랑 울릉도 성인봉의 습기가 많은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40cm고 샘털이 있다. 뿌리잎은 여러 장이며 심장꼴 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얕게 5갈래로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잎 표면에는 긴 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는 긴 털과 짧은 털이 퍼져난다 삭과는 상하 2개의 심피로 1가는 길고 1가는 짧고 긴 것은 7~12cm 종자는 흑색 길이는 1.2cm로써 윤체가 있습니다 화경(花莖)은 높이 10-40cm로서 선모가 있고 짧은 대가 있는 2-3개의 잎이 달리며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밑으로 처지고 총상화서는 흔히 밑부분에서 1개의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소화경은 길이 3-7mm로서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 2023. 5. 12.
고구마밭 2023.05.10 2023. 5. 12.
콩제비꽃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사실 콩제비는 여기저기서 많이 만나요 그런데 이렇게 군락으로 자리한 콩제비는 그냥 올 수 없어 쿡~ 한장 담아주었지요 어린순은 나물로도 먹는 콩제비 작고 앙증 맞지요 2023. 5. 12.
울릉도 야생화 선갈퀴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존재의 따스함 울릉도에 가을꽃은 왕해국이 있다면 봄의 꽃은 선갈퀴 그만큼 많다는 애기입니다 온통 작은 애들이 하이얀 미소가 울릉 도을 빛내고 있었어요 밀립 속이 잘 보존된 울릉도는 선갈퀴가 번식하는데 가장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는듯 했어요 암벽 틈새 이용해서 자라고 있었고 넓은 평지에도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고 있으니 보는 즐거움이 얼마나 좋은지... 선갈퀴 이름은 잎이 층을 이뤄나면서 마치 갈퀴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라네요 울릉도와 중부 이북지역에도 자생한다고 하고 일본의 사할린에도 살고 있다고 합니다 네 비어 지식으로 공부했어요 이번 울릉도에서 전부 처음 본 꽃들이지만 특히 많은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선갈퀴는 감동의 물결이었지요 울릉 .. 2023. 5. 12.
안면도 새우난초 &매화마름 2023.05 10 꽃말=미덕. 겸허. 성실 안면도 가는길에 또 잠깐 들렀어요 올해는 찔끔 찔끔 그렇게 다녀오게되네요 ^^ 지난번 시간 상 가지 못했던 곳 만 언능 돌았어요 정말 끝자락에 서 있더군요 오후늦은시간이라 빛은 여기저기 없고 해서... 몇개채만 역시 만나고 바로나왔습니다 매화마름 꽃말= 영원한 행복 이아이들이 사는 곳이 궁굼 했거든요 ㅎ 확인차 들러본거애요 그런데 잎이 다 녹았어요 꽃잎도 다 떨어지고 씨방이 만들어져있더군요 작지만 아주 화려한 꽃을 ' 보여주는 작은 꼬맹이 매화마름 내년을 기다려보렴니다 2023. 5. 11.
풀솜대(지장보살)&먹넌출 2023.05.10 꽃말=나는 당신을 믿습니다 다년생 초본 전국에 분포하며 올라갈수록 양면에 털이 있네요 민솜대’와 달리 잎에 잎자루가 있고요 봄에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데쳐서 쌈으로 먹기도 하는군요 다른 산나물과 섞어 무쳐 먹기도 하며 튀김, 볶음으로 먹기도 한다고 하네요 ^^ ‘솜대’ 또는 ‘지장 나물’이라고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지난번 올렸던 블로그 다시 바라보며 올려봅니다 먹넌출 2023. 5. 11.
금난초 2023.05.10 꽃말= 주의경고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40~70cm이다. 잎은 6∼8개로 어긋나고 긴 타원상 바소꼴로 길이 8∼15cm, 폭 2∼4.5cm 줄기를 싸며 끝이 뾰족하다.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수상꽃차례로 3∼12송이가 달린다. 꽃 밑에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포(苞)가 있으며 삼각형이다. 살짝 들어본 곳인데 의외로 금난초를 만났어요 묶은지까지 있어서 참 예쁘게 바라보는 시간이였어요 2023. 5. 11.
당진의 논뚝 마을 2023.05.16 2023. 5. 10.
윤판나물아재비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당신을 따르겠습니다 울릉도와 제주도의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땅속줄기는 가늘고 길며, 포복지를 낸다. 줄기는 곧추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60cm이다.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 5-15cm, 폭 1.5-4cm이다. 꽃은 5-6월에 피며 끝이 녹색을 띠는 흰색으로 길이는 2-3cm이고, 가지 끝에 1-3개 달리며, 밑으로 처진다. 암술대는 길이 15mm쯤이며,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장과로 푸른빛이 도는 검은색이다. 일본에도 분포한다. 가장 싱그럽고 가장 건강한 숲을 자랑하는 밀립숲같은 술길에서 만나는 윤판나물아재비 보는 즐거움이 정말 크더군요 너무 많으니까 담아넬 엄두도 안 나고 ㅎ 그래서 떼.. 2023. 5. 10.
관중&공작고사리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관중(貫衆, 학명: Dryopteris crassirhizoma)은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중국·일본 ·만주 등에 분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환경부가 지정한 보호식물이라서 함부로 캘 수 없다. 공작고사리 꽃말= 예교 빛을 받아서 어찌나 예쁜지 공작 날개처럼 쪽 펴진 모습이 멋스러워요 울릉도에서만 특히 만날 수 있는 공작고사리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지요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