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34

나도범의귀 2023.05.27 꽃말=절실한 애정 산의 숲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가늘고 길게 자라며 실 같은 기는줄기를 벋는다. 높이는 15∼25cm이다. 잎은 길이와 폭이 각각 15∼35mm로 뿌리줄기에서 바로 나오며 긴 잎자루가 있고 털이 나며 둥근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뚜렷하지는 않지만 약간 패어 들어간 모양과 얕은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가 5∼10cm이고 윗부분에 짧은 선모(腺毛)가 있다. 턱잎은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고 짧다. 꽃줄기는 높이가 15∼25cm이며 짧은 선모가 있고 종종 1개의 작은 잎이 달린다. 꽃은 5월에 피고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적은 수의 꽃이 꽃대에 드문드문 붙는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는데, 그 조각은 세모진 원 모양이다. 꽃잎은 5개이고.. 2023. 5. 29.
함백산 적멸보궁 정암사 2023.05.27 (부처님 오신 날) 잔칫날입니다 부처님 오신 날 그야말로 인산인해 가족나들이 산행객 모두가 찾아가는 잔칫날 본인도 인사 올리고 국수 한 그릇 먹고 한바뀌 돌아보렵니다 복주머니가 담장 아래로 옮겨지면서 행여 잘 살아가지 못하면 어쩌나 했는데 잔칫날 마치 복을 나눠주시는 듯 활짝 폈어요 담장 아래 모란은 왜 그리 예쁜지 보슬보슬 내리는 빗소리와 스님들의 불경 소리가 참으로 듣기 좋았습니다 정선 태백산 함백산 자락에 자리한 정암사 부처님 진시사리가 모셔진 5대 적멸보궁 자장율사가 창건한 5대 적멸보궁 중 한 곳입니다 사적기에 따르면 자장율사가 꿈에서 문수보살과 만나기로 약속한 태백산 갈반 지를 찾던 중 큰 구렁이가 똬리를 틀고 있는 이곳에 사찰을 창건하였다고 ,, 자장율사는 정암사 북쪽 금.. 2023. 5. 28.
유럽개미자리 2023.05.25 유럽개미자리는 유라시아 원산의 식물이며, 한국에서는 귀화식물로서 제주도와 지리산 등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높이는 5~30cm 정도이다 줄기는 여러 대가 땅을 기면서 방석 모양을 이루고 자라고 끝에서 위를 향해 자라며 전체에 샘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게 달리고 선형이며 짧은 샘털이 있다. 5-8월에 가지 끝과 옆겨드랑이에서 분홍색 꽃이 핀다. 꽃잎은 꽃받침보다 짧다. 꽃잎수는 5개이며 꽃받침은 피침형이고 뒷면 주맥을 따라 샘털이 있다. 수술은 6-10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난형의 삭과이며 꽃받침과 같은 길이로 자라고 유두상의 돌기로 덮여 있다. =위키백과= 이름은 유럽에서 넘어온 종류라는 뜻으로 유럽개미자리입니다 이번 인제 출사에서 갯뫼꽃과 함께 습지에서 만나.. 2023. 5. 28.
희귀식물 복주머니란 2023.05 25 꽃말=기쁜소식 복주머니란 또는 개불알꽃(Cypripedium macranthum)은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근경은 짧고 굵은 수염뿌리가 많이 있으며, 줄기는 털이 있고 곧게 선다. 길이 30-50cm이며, 잎은 3-4장이 어긋나고, 거친 털이 있는 넓은 달걀형이다. 꽃은 붉은색 또는 흰색이고, 꽃받침 위쪽은 넓은 달걀형이다. 옆의 꽃받침 2개는 서로 붙었고, 곁꽃잎 2장은 끝이 뾰족하다. 입술꽃잎은 주머니 모양이며, 열매는 타원형의 삭과이고 개화기는 5-6월이다. 분포 지는한국·중국·일본·시베리아·동유럽 등이다. 그리고 2012년부터 정부에서 멸종위기 Ⅱ급[2] 식물로 지정했다. =위키백과= 약 18송이도 같이 자생하는 이곳은 참으로 탐스럽고 아름다운 모습이었어요 2023. 5. 28.
애기마디풀 2023.05.25 인제 애기마디풀 아주 작아서 눈에 보이지도 않은 애기마디풀 연녹색 사이에 빼~꼼 핑크색이 보여서 손으로 헤처 보니 이 아이들이 빼곡하게 살고 있지요 햇살이 뜨거운 빛 그늘은 없지만 서로 다닥다닥 붙어서 반 그늘을 만들어주고 있었고요 습지 비슷한 곳이라 수분이 충분한 곳이었어요 물을 좋아하는 아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마디마디에 꽃을 피우고 있었고 아주 작은 아이라 애기마디풀이란 이름이 붙은 것 같았어요 오늘 아침에 이 아이 정보를 찾아 헤매었는데 또 야생화 고수님이 말해주네요 고맙습니다 2023. 5. 28.
민백미꽃 2023.05.25 꽃말=그대 곁에 머물고 싶어라 민백미꽃(Cynanchum ascyrifolium) 은 한국 각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 의 여러해살이 풀 이번 인제쪽 출사 복주머니를 보고 나오는 길에 만난 민백미꽃어두운 숲속을 환하게 비추고 있는 하얀 백색의 꽃은 그야말로 유혹적입니다 이제 막 피기 시작하는군요 약 5% 개화중이였습니다 2023. 5. 28.
애기봄맞이 2023.05.25 애기봄맞이는 앵초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들의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15센티미터이다. 전체에 털이 거의 없다. 잎은 모두 근생엽, 넓은 난형, 타원형, 길이 10~45밀리미터, 너비 2~9밀리미터, 잎자루가 있고, 둔한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흰색, 꽃줄기의 길이 15센티미터,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로 달리고, 꽃자루가 많으며, 길이 1~6센티미터, 포는 선형, 꽃받침은 종형, 갈래는 피침형, 가장자리는 흰색 막질이다. 화관은 트럼펫 모양이며 열매는 삭과로 둥근 모양이다 이번 인제출사에서 만났어요 아주 깜찍한 아기가 군락을 이루며 사는 모습은 야생화를 사랑 하는 본인으로써는 대견하고 뿌듯 했습니다 2023. 5. 26.
갯뫼꽃이 사는 아름다운 곳 2023.05.25 꽃말=수줍음 이렇게 많은 아이들의 갯뫼꽃은 처음 만났어요 9시 정도 돼야 문을 열기 시작 시간 맞춰도착햇지만 아직 잠자는 애들 등등 푸르름이 짙어진 여름 잠에서 막 깨어난 요놈 ㅎㅎ 행복했던 순간들.. 애기갯뫼꽃보다는 크고 그냥 갯뫼꽃 보다는 작은 너는 누구니?? 2023. 5. 26.
논산에 미내다리 2023.05 23 충청남도 논산시 채운면에 있는 조선후기 강경의 송만운과 황산의 유승업 등이 축조한 다리. 석교. 시도 유형문화재. 길이 30m, 너비 2.8m, 높이 4.5m. 1973년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 다리가 놓여 있는 하천을 미하(渼河)라고 부른 데서 다리이름을 미내다리[渼奈橋]라고 하였다는 전설이 있는가 하면, 미내라는 승려가 시주를 받아서 만들었다는 데서 그 이름이 연유하였다는 기록이 비문에 남아 있다. 또, 《동국여지승람》에는 “예전에 다리가 있었는데 조수가 물러가면 바위가 보인다고 해서 조암교(潮巖橋) 또는 미교(渼橋)라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 다리는 3개의 홍예(虹霓 : 무지개모양)로 된 돌다리인데 가운데 홍예가 가장 크고 남북 쪽의 것이 작다. 받침을 긴 .. 2023. 5. 24.
탑정호 노을 2023.05.23 3월달이 가장 이쁘다고 하시는 진사님 내년에는 3월에 꼭 한번 담아 봐야지 ㅎ 나룻배가 이리저리 흔들흔들 강태공의 마음 놀러 오신분이 모델을 해 주신다 일행중 쌤 한분이 낚시전문 나룻대 운전을 잘 하시네요 ㅎ 탑정호가 한동안 핫하게 올라오는곳 우연히 가게 되어 잠시 놀다 왔어요 2023.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