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길 2023=2024264

개종용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개종용(Lathraea japonica)은 경상북도, 강원도, 일본의 나무밑에 나는 여러해살이 기생 식물이다. 전체에 거의 털이 없고, 근경은 다육질로 짧고, 넓은 비늘 조각이 어긋나기로 밀생 한다 비늘 조각은 다육질, 길이 5-10mm, 심장형, 꽃줄기는 곧게 서고, 길이 10-20cm, 비늘 조각이 드문드문 달린다. =위키백과= 이번 울릉도 출사 중에 가장 신비한 아이라면 개종용일거예요 많이 독특해요 꽃인 듯 잎인 듯 작은 솜털로 주변을애워싸고 핑크빛 색감은 왜 그리 예쁜지요 신비롭습니다 이렇게 오롯이 흰색도 있어요 ^^ 자연이 참 소중하다는 걸 이번 울릉도 출사를 통해 더 절실하게 다가왔습니다 2023. 5. 12.
헐떡이풀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절실한 사랑 울릉도 성인봉의 습기가 많은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40cm고 샘털이 있다. 뿌리잎은 여러 장이며 심장꼴 원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얕게 5갈래로 갈라지며 톱니가 있다. 잎 표면에는 긴 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는 긴 털과 짧은 털이 퍼져난다 삭과는 상하 2개의 심피로 1가는 길고 1가는 짧고 긴 것은 7~12cm 종자는 흑색 길이는 1.2cm로써 윤체가 있습니다 화경(花莖)은 높이 10-40cm로서 선모가 있고 짧은 대가 있는 2-3개의 잎이 달리며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이며 밑으로 처지고 총상화서는 흔히 밑부분에서 1개의 짧은 가지가 갈라지며 소화경은 길이 3-7mm로서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 2023. 5. 12.
콩제비꽃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사실 콩제비는 여기저기서 많이 만나요 그런데 이렇게 군락으로 자리한 콩제비는 그냥 올 수 없어 쿡~ 한장 담아주었지요 어린순은 나물로도 먹는 콩제비 작고 앙증 맞지요 2023. 5. 12.
울릉도 야생화 선갈퀴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존재의 따스함 울릉도에 가을꽃은 왕해국이 있다면 봄의 꽃은 선갈퀴 그만큼 많다는 애기입니다 온통 작은 애들이 하이얀 미소가 울릉 도을 빛내고 있었어요 밀립 속이 잘 보존된 울릉도는 선갈퀴가 번식하는데 가장 좋은 환경을 가지고 있는듯 했어요 암벽 틈새 이용해서 자라고 있었고 넓은 평지에도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고 있으니 보는 즐거움이 얼마나 좋은지... 선갈퀴 이름은 잎이 층을 이뤄나면서 마치 갈퀴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라네요 울릉도와 중부 이북지역에도 자생한다고 하고 일본의 사할린에도 살고 있다고 합니다 네 비어 지식으로 공부했어요 이번 울릉도에서 전부 처음 본 꽃들이지만 특히 많은 군락을 이루며 자생하는 선갈퀴는 감동의 물결이었지요 울릉 .. 2023. 5. 12.
금난초 2023.05.10 꽃말= 주의경고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나무그늘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며 높이 40~70cm이다. 잎은 6∼8개로 어긋나고 긴 타원상 바소꼴로 길이 8∼15cm, 폭 2∼4.5cm 줄기를 싸며 끝이 뾰족하다.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수상꽃차례로 3∼12송이가 달린다. 꽃 밑에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의 포(苞)가 있으며 삼각형이다. 살짝 들어본 곳인데 의외로 금난초를 만났어요 묶은지까지 있어서 참 예쁘게 바라보는 시간이였어요 2023. 5. 11.
관중&공작고사리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관중(貫衆, 학명: Dryopteris crassirhizoma)은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중국·일본 ·만주 등에 분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환경부가 지정한 보호식물이라서 함부로 캘 수 없다. 공작고사리 꽃말= 예교 빛을 받아서 어찌나 예쁜지 공작 날개처럼 쪽 펴진 모습이 멋스러워요 울릉도에서만 특히 만날 수 있는 공작고사리 이번에 처음 알게 되었지요 2023. 5. 10.
주름제비난초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청초한 아름다움, 순수한 사랑 울릉도 북부 윗지방에서 자라는 숲 속의 공주님 주름제비난초 키가 상당이 커요 30~60 cm정도 유난히 흰색을 하고 있는 이 아이는 흰주름제비난초겟죠?? 접사로 만나봤어요 귀하다는 주름제비난초 소중하게 보고 왔습니다 2023. 5. 8.
꼬마은난초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총명 난초 중에 앙증맞은 꼬마 꼬마는 난초는 우리나라 강원도,경상도,제주도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입니다. 은난초와 비슷하지만 그 크기가 작아 꼬마은난초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이번에 울릉도에서 만났어요 이제 꽃을 피기 시작하는 아주 앙증맞은 꼬맹이가 빛을 받아 시선을 이끌고 있었지요 부엽질의 풍부한 숲 속이나 습도가 많은 곳이 이 아이가 사는 동네.. 꽃이 피어있는 시간이 비교적 짧아요 하얗게 빛나는 뽀얀 요정들은 하나같이 깜찍합니다 간신히 하나 피는 꽃술이 살그니 노랑을 띄고 있어요 시가을 맞추기 너무 힘든 아이죠 꼬마은난초에 비하면 은난초는 키도 크고 꽃송이도 더 많이 달려있지요 이제 은대난초 은난초를 줄줄이 만나겠네요 꼬마은난초가 제일 .. 2023. 5. 8.
큰졸방제비꽃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소박, 겸손, 겸양, 가난한 행복, 수줍은 제비꽃은 잘 안 찍는데 싱그럽고 유난히 잎도 크고 꽃도 커서 울릉도 제비꽃 같아서 담아 왔는데 아니네요 역시 제비꽃 가족은 늘 힘들게 합니다 ㅎ 옆모습도 딱 울릉도 제비꽃 같은데.. 그런데... 거참.. 변이가 너무 심한 제비꽃가족들... 그래도 이뻐서 즐거이 보고 데리고 왔어요 2023. 5. 8.
큰연영초 2023.05.03--05 (2박 3일) 울릉도 일정 꽃말 : 그윽한 마음, 장수 과명 : 백합과 속명 : 연영초속 이명 : 연령초 왕삿갓나물 큰 꽃삿갓풀 큰연령초 큰 연영초 형태 : 다년초이다. 개울가 반그늘 혹은 음지의 부엽질이 풍부한 곳 분포지 : 우리나라 경상북도 특히 울릉도와 강원, 경기 이북, 중국 북동부, 시베리아 동부, 일본, 캄차카 잎 : 잎은 줄기 끝에 3 엽 윤생하고 넓은 난상 능형으로 길이와 나비가 각 7~17cm이며 끝은 짧게 뾰족하고 밑은 약간 둥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작은 돌기가 있으며 3~5개의 맥이 있고 엽병은 없다. 줄기 : 줄기는 곧추서며 기부에 갈색 인편엽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백색으로 피고 화경 끝에 1개가 비스듬히 상향하여 피며 화경은 길이 4~.. 2023.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