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길 2021140

해란초&남가새꽃&모래지치 (1박2일출사) 첫날 세 번째 코스 남쪽 끝자락 바닷가로 달렸어요 바다에 해란초가 보고 싶었거든요 꽃말= 달성 이쁜데 너무 이쁜데~ 돌덤이 발만 넣으면 와르르~~~~ 해란초가 다칠라 ~~~~~조바심이 납니다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15~40cm 정도로 둥글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분 백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거나 3~4개는 돌려나지만 윗부분에서는 어긋나기도 한다. 잎몸은 길이 15~30mm, 너비 5~15mm 정도의 타원형으로 뚜렷하지 않는 3 맥이 있다. 7~8월에 개화하며 총상꽃차례에 피는 꽃은 연한 황색이다. 삭과는 지름 6~8mm 정도로 둥글고 밑부분에 꽃받침이 있으며 종자는 길이 3mm 정도이고.. 2021. 7. 1.
찔레꽃&초롱꽃&꿀풀(흰색) 2021 06. 26 ~ 27 (1박2일출사) 첫날 두 번째 코스 찔레꽃 꽃말=온화 찔레꽃 새순이 나올 무렵, 껍질을 살짝 까서 먹어보면 풋풋함과 함께 순수한 맛이 입안 가득 퍼진다. 아픈 만큼 성숙한다고 한다. 이 말이 맞는 말일까? 찔레는 몸에 가시가 있어 잡으면 찔려 아프지만 바라보면 순수하면서도 청초한 아름다움을 그대로 담고 있고 그윽한 향기까지 뿜으니 꽃말처럼 '온화' 그 자체다. 초롱꽃 꽃말= 침묵 꿀풀 꽃말 = 추억 쌍떡잎식물강 통 화식 물목 꿀풀과 꿀풀 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이다. 꽃에서 꿀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 꿀풀’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약재로도 유명한데, 특히 편도선염에 효과가 있어 학명의 ‘prunel.. 2021. 6. 30.
참조팝나무&참좁쌀풀&국화방망이&산꿩의다리 2021 06. 26 ~ 27 (1박2일출사) 첫날 두 번째 코스 꽃말=노력 비 예보는 요즘 너무 정확해요 ㅎ 그래도 출발이죠 달려달려서 도착했어요 비가 오면 참 좋은 건 숲속이 축제 중 같지요 운무 가득한 숲속에 참조팝나무 중부 이북의 산속 바위지대에 자라는 낙엽 떨기나무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러시아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줄기는 높이 1-2cm, 연한 갈색 또는 붉은 갈색을 띤다.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거친 톱니가 있다. 잎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연한 녹색, 양면에 털이 없다 꽃은 5-6월에 가지 끝의 겹 산방 꽃차례에 피며, 붉은빛이 도는 흰색이다. 꽃받침 통은 종 모양이며, 안쪽에 털이 있다. 꽃잎은 난형이다. 수술은 많으며, 꽃잎보다 길다. 열매는 골돌이며,.. 2021. 6. 30.
긴포꽃질경이&타래난초&애기수영&붉은토끼풀 2021 06 26 (1박2일 출사) 첫날 세번째 코스 1박2일출사 첫날에 세번째 찾은 곳은 긴포꽃질경이 이 꽃은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 귀화식물이네요 투명한 꽃잎이 독특해요 키가 쑥 자라 있는 긴포꽃질경이는 크게는 30cm 이상되는 것 같아요 아래서부터 피기 시작해서 가장 위까지 차근차근 피어오르고 있었고 나비모양의 꽃 모습이 정말 신비합니다 우리는 경주에서 만났어요 세력이 대단해 보였고 번식력 또한 대단해 보였어요 보존이 잘된 거죠 보리 밭 같은 착각도 들기도 했으니까요 포엽이 꽃보다 길어서 밖으로 표출되는 특징이 있고요 투명한 꽃잎 4개가 꽃줄기에 다닥다닥 붙어 있는 모습이 또한 정말 아름답지요 잎은 선형으로 중앙 맥 한 개가 또렷하고 끝이 뾰족합니다 이 아이들이 무덤가에 자생하고 있는데 벌초를 하.. 2021. 6. 29.
나나벌이난초 2021. 06. 26 (1박2일첫날) 1박 2일 일정으로 여행 , 산행 , 출사 1박 2일 일정을 이번이 두 번째 그 첫 번째로 나나벌이난초를 만났어요 가는 길이라 먼저 간 거죠 많이 늦게 오긴 했어요^^ 끝자락에서 만나는 나나벌이난초 비가 와서 촉촉하고 싱그러워요 꽃말은 = 위안 나나벌이난초는 산지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비늘 조각으로 된 난상 구형의 덩이줄기가 있다. 줄기는 1개가 높이 10-20cm로 곧게 자란다. 길이 3-8cm, 폭 2-4cm인 넓은 난형의 잎 2장이 줄기 밑부분에서 마주난다. 꽃은 6-7월에 피며, 연녹색 또는 자주색이고, 길이 3-8cm의 총상 꽃차례에 10-20개 달린다. 포는 삼각형, 꽃받침은 선형이다. 곁 꽃잎은 선형으로 아래를 향하고, 입술 꽃잎은 난상 .. 2021. 6. 28.
병아리난초(흰병아리난초)&큰까치수염 2021. 06. 23 꽃말=순수한사랑 병아리난초는 우리나라 산지의 암벽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 생육환경은 공중 습도가 높으며 이끼가 많고 반그늘인 바위에서 자란다. 키는 8~20㎝이고, 잎은 길이가 3~8㎝, 폭이 1~2㎝ 정도 되고 긴 타원형으로 밑부분보다 약간 위에 1장 달린다. 꽃은 홍자색으로 길이는 1~4㎝로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 조각은 길이가 약 0.2㎝로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하나의 맥이 있다. 입술 모양 꽃부리는 중앙 밑부분이 3개로 갈라지고 길이는 약 0.4㎝이며, 옆으로 찢어진 잎은 길이가 약 0.1㎝로 끝이 둔하다. 아래로 처진 부분은 길이가 약 0.2㎝ 정도로 짧다. 열매는 8~9월경에 길이 0.4~0.7㎝로 타원형으로 달린다. **다음백과** 중부.. 2021. 6. 25.
병아리난초 & 회목나무&털중나리 2021. 06. 23 꽃말 : 순수한 사랑 올해도 만남이 기다려져서 달려가 본 그곳에는 누군가 작년에 뽑은 듯 자리만 선명하게 남아 있어서 안타까운 마음... 그리고 그 외 많았던 아이들도 흔적이 없고 아마도 이건 개인 생각인데 작년에 많은 비 때문인지 모두 사라진 듯 어떻게 버텼는지 이 아이가 남았네요 회목나무 꽃말= 부귀 아 아이도 누군가 자꾸 나무를 잘라 버리네요 해마다 작아지는 나무을 보면 안타까워요 그럼에도 이렇게 많은 꽃송이를 펴 주고 있어서 기쁨으로 만나고 왔어요 회목나무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높은 산에 드물게 자라는 떨기나무로 중국과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줄기는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높이 2-4m다. 가지에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다. 잎은 마주나며, 긴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 가.. 2021. 6. 24.
매화노루발&노루발&정금나무&갯개미자리&망초대 2021. 06. 12 꽃맣=소녀의 기도 올해도 잘 자라줘서 감사한 마음으로 바라보고왔어요 노루가 들어가는 들꽃은 노루귀, 노루발, 노루삼, 노루오줌 등등 여러 개가 있는데, 매화노루발 역시 그중 하나다. 대표종인 노루발은 꽃이 흰색이며 크기는 지름이 1㎝가 약간 넘는다. 이에 비해 매화노루발은 꽃이 매화처럼 아름답다고 해서 ‘매화’가 붙여진 이름으로, 지름은 1㎝ 정도이다. 원줄기 끝에서 자라는 꽃자루 끝에 1~2개의 꽃이 마치 작은 종처럼 아래를 향해 달린다. 그런데 꽃망울은 일찍 맺지만 한 달 정도 견디다가 5~6월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꽃을 피우는 것이 큰 특징이다. 오랜 기다림 끝에 꽃이 피어서 그럴까? 꽃을 보면 매우 고고하게 보이기도 한다. 매화노루발은 우리나라 각처에서 자라는데, 특히 바닷가.. 2021. 6. 15.
호자덩굴&비비추난초&좀가지풀&먹넌출열매&산딸기 2021. 06. 12 시간이 왜 이리 빠른지 모르겠어요 100km 달리기 같아요 ^^ 호자덩굴꽃말=공존 호자덩굴을 보러 달려갔어요 핑크색도 만나고 올해로 4번째 만남이지만 가을에 빨간 열매와 연상하면 신비한 아이입니다 공존이란 꽃말이 열매와 꽃과 연결하면 이해가 되고 또 연상도 되고요 비비추난초 외떡잎식물 난초목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좁은 달걀 모양으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밑 모양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이며 5∼15개가 총상으로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20∼35cm로서 밑에 2∼3개의 칼집 모양 잎이 달리고 꽃받침 조각과 꽃잎은 거꾸로 세운 듯한 좁은 바소꼴이다. 순판은 3개로 갈라지고 뒤쪽에 5mm 내외의 꿀주머니가 있다. 포는 흔적만 있다... 2021. 6. 15.
복주머니란& 분홍민백미&민백미 2021. 06. 01 꽃말 : 튀는 아름다움 이름 때문에 쉽게 기억되는 우리 자생화, 요즘은 희귀성 때문에 더 사랑받고 있는 듯하다. 자연조건에서 워낙 증식효율이 낮은 데다 시원스런 방법이 없어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고 있기도 하다 난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지구상에 약 45종이 있는데, 북반구 온대지역에 나며 중국과 우리나라 및 일본에 많이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 노랑 복주머니란, 광릉요강꽃 등이 있으며 모두 멸종 또는 희귀식물들이다. **다음 백과** 밤새 내리고 달리는 동안도 쏟아지는 비 도착쯤 멈춰준 고마운 비 햇살까지 비춰주니 감사하고 또 감사하다 민백미(분홍) 꽃말=그대 곁에 머물고 싶어라 다시 달려서 만난 곳은 분홍 민백미 4년 전 만나고 처음인 듯.. 2021. 6. 10.